뉴스클리핑

기간검색

~
2025년 11월 5일
쿠팡플레이, '스포츠 중계' 콘텐츠로 OTT 시장 2위 탈환
Today

쿠팡플레이가 티빙을 제치고 국내 OTT 월간 이용자 수(MAU) 2위를 자치했습니다. 실시간성이 강한 '스포츠 중계' 콘텐츠를 전면에 내세워 시청자들의 몰잎도를 높인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쿠팡플레이, 국내 OTT 2위 자리 차지하며 반등

  • 지난 10월 MAU 티빙 제치고 넷플릭스에 이어 2위 차지

  • 드라마·예능이 아닌 스포츠 중계 중심 전략으로 다시 성장세

 

♦ 스포츠 중계 콘텐츠 강화하는 쿠팡플레이

  • EPL, K리그, NBA, F1 등 다양한 스포츠 중계권 확보

  • 실시간 중계 → '지금 아니면 못 본다'는 심리로 OTT 구독 동기 자극

  • 시의성·몰입도 높은 라이브 콘텐츠로 이용자 '록인' 전략 구사

 

기사 바로가기

식품업계의 내수부진 탈출구는 '실버푸드'?
Today

식품업체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실버푸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면서 한국 사회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소화·흡수가 쉽고 노인에게 적합한 영양분을 갖춘 '실버푸드' 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떠오르는 '실버푸드' 산업

  • 국내 65세 이상 인구 비율 20.3%(2025) → 30.9%(2036) 확대

  • 실버푸드, 7900억 원(2015)→ 2.5조 원(2021)→5조 원(2050) 성장 전망

 

♦ 실버푸드 사업에 투자하는 식품업계

  • 현대그린푸드, 실버푸드 상품 확대·생산시설 투자 늘릴 계획

  • CJ프레시웨이, 이커머스 시장 공략하며 실버푸드 판매 채널 확대

  • 대상웰라이프, 환자·고령층용 균형 영양식인 '뉴케어' 브랜드 출시

 

기사 바로가기

스타벅스 안 마시는 美·中 Z세대
Today

세계적인 커피 브랜드로 알려진 스타벅스가 최근 핵심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성장 부진을 겪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달콤한 맛과 화려한 비주얼의 음료로 Z세대의 수요가 집중되고, 중국에서는 저가 로컬 브랜드를 선호하는 젊은 세대의 경향이 강해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美 시장서 스타벅스 영향력 하락

  • 스타벅스, 미국 내 최근 7분기 연속 하락세 기록

  • 화려한 비주얼의 '더치브로스', 트렌디한 맛의 '블랭크 스트리트'

   → 커피를 마시기보다는 사진을 찍는 '셀카세대'인 Z세대 수요 겨냥

 

♦ 중국 Z세대, 저가 로컬 커피 브랜드 선호

  • 스타벅스의 중국 커피시장 점유율 34%(2019)→14%(2024) 급락

  • 값싼 로컬 브랜드 선호하는 中 Z세대

   → 중국 토종브랜드 '러킨 커피', 매장 1만3천 곳 넘기며 스타벅스 추월

 

기사 바로가기

2025년 11월 4일
격화되는 플랫폼 간 '리빙 전쟁'
Today

최근 각종 플랫폼들이 리빙 카테고리에 잇따라 진출하자, '리빙'을 강점으로 내세운 플랫폼들이 '집 꾸미기'에서 '집 짓기'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중개를 넘어 직접 시공을 하거나 브랜드 협업을 통해 '리빙'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오늘의집,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 도입

  • 단순 중개를 멋어나 직접 시공 영역까지 사업 확장

  • 직영 매장 판매 방식 → 저렴한 시공 가격이 장점

  • 부엌 시공 브랜드 '오늘의집 키친' 매장 '숍인숍' 형태로 오픈

 

♦ 29CM, 건설사와 협업해 홈·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 확장

  • 힐스테이트와 MOU 체결 → 입주 고객 대상 홈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 DDP 디자인페어에서 힐스테이트와 협업해 브랜드관 연출

 

♦ '집 꾸미기'에서 '집 짓기'로 사업 확대하는 리빙 플랫폼들

  • W컨셉·에이블리 등 각종 플랫폼들 '리빙' 카테고리에 주력

  •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됨

 

기사 바로가기

일본술, 주류 시장 침체기 속 '나홀로 성장세'
Today

국내 주류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기에 빠진 가운데, 일본 주류만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 소비자의 일본 주류 수요 확대 배경에는'일본 여행 경험의 내수화'와 가성비부터 프리미엄을 아우르는 일본 주류업계의 '방대한 포트폴리오'가 꼽힙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주류 시장 침체기 속 일본술만 성장 독주

  • 日주류 수입, 23년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해 1억달러 선 회복

  • 日맥주 올해 수입액 6020만 달러, 전년 대비 20.4% 성장

  • 맥주 외에도 사케, 위스키도 성장세 보여

 

♦ 일본주 성장 배경 1. 여행 경험의 내수화

  • 일본 여행 수요 증가 → 한국 소비자, 일본주 경험 확대

  • 일본에서 맛봤던 술을 국내에서도 소비하려는 경향 강화

 

♦ 일본주 성장 배경 2. 다양한 포트폴리오

  • 저도수·하이볼·사와 등 이색적인 가성비 주류 → 젊은층 수요

  • 사와, 위스키는 프리미엄 시장 저격

 

기사 바로가기

홈쇼핑업계, '액티브 영올드' 잡기에 나선다
Today

홈쇼핑업계가 1세대 스타 쇼호스트를 영입하거나 프리미엄 전략을 강화하는 등 '액티브 영올드' 공략에 나섰습니다. TV홈쇼핑의 주 고객층이 50대 이상 중장년층인 만큼, 액티브 영올드를 위한 맞춤형 전략을 강화해 매출 증대를 노리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50대 이상 중장년층, TV홈쇼핑 주요 고객으로 부상

  • TV홈쇼핑 이용자 중 68%가 '50대 이상 중장년층'

  •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자기 투자에 관심 보이는 '액티브 영올드' 공략

 

♦ KT알파, 액티브 영올드 맞춤 전략 강화

  • 1세대 스타 쇼호스트 영입 → 노년층 팬심 공략하며 고객 확보

  • 영올드의 주 관심사인 건강·외모관리 관련 상품군 강화

  • 모바일 내 '슬로에이징' 관련 특화관 신설 → 고객 접점 확대

 

♦ GS샵, '프리미엄 패션'으로 중장년층 공략

  • 캐시미어, 라쿤 등 프리미엄 소재 내세운 스타일 적극 도입

  • 명품 수준의 품질·디자인 카테고리 강화

 

기사 바로가기

2025년 11월 3일
치열해지는 식음료업계 '제로' 경쟁
Today

전 세계적으로 건강과 즐거움을 함께 추구하는 '헬시플레저' 열풍이 확산되면서, 당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오리지널의 맛을 구현한 '제로 음료'가 식음료업계의 대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제로 음료 판매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으며 '제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전 세계적인 '헬시플레저' 열풍, '제로 음료' 해외 진출

  • 글로벌 저당·제로 설탕 음료 시장 성장 → 국내 제로 음료 해외로 진출

  • 롯데칠성음료, '밀키스 제로' 수출 물량 확대

  • 동원F&B, 내년부터 제로 음료 중심으로 수출 본격화

 

♦ 두유도 맥주도 '제로 슈거' 시대

  • 매일유업, 두유 등 주요 제품군 무당·저당 제품으로 전환

  • 하이트진로, 제로 음료 트렌드 반영해 '테라라이트' 제품 출시

 

기사 바로가기

'투자세대'인 MZ...3명 중 1명은 1억 이상 보유한 '자산가'
Today

1억원 이상 자산을 보유한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 중 MZ세대의 비중이 33.6%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19.8%보다 늘어난 수치로, 젊은 세대의 자산운용이 과거 '저축' 중심에서 '투자' 중심으로 전환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세대별 투자 성향의 변화...'투자' 시장에 떠오른 MZ세대

  • Z세대 금융자산 중 투자·가상자산 비중 26.3% (전년 대비 +1.4%p)

  • M세대의 투자자산 비중 34.8% (전년 대비 +1.4%p)

  • 반면, Z세대·베이비붐세대 투자자산 비중은 소폭 하락

 

♦ 저축은 줄이고 투자는 늘린다

  • 저축 자산 비중 45.4%(2023) → 42.7%(2025) 소폭 감소

  • 투자자산 비중은 최근 3년간 27.7%→31.1%→32.2% 로 증가 추세

  • 1억원 미만 투자자들의 투자 수요 증가

 

♦ '금융 자신감' 커지는 MZ세대

  • 경제·금융 관련 기사 찾아보는 MZ세대 증가

  • '합리적 금융 의사결정'에 타 연령 대비 두드러진 자신감 보이는 MZ

 

기사 바로가기

韓 기업의 블루오션, '日 액티브 시니어'
Today

일본이 초고령사회로 전환하면서, 경제력과 소비력을 갖춘 노년층인 '액티브 시니어'가 핵심 소비계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의 실버산업이 한국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일본, 초고령사회로의 급속한 전환

  • 2040년에 일본 고령화율 35%에 이를 전망

  • 이에 일본 정부에서 노인 관련 인프라·서비스 산업 확충 중

 

♦ 새로운 핵심 소비계층으로 부상한 日 '액티브 시니어'

  • 경제력과 함께 디지털 친화성을 지닌 '액티브 시니어'

  • 노년층 소비, 과거 식비·의료 중심에서 여행·운동 등 여가 소비 확대

   → 온라인 커뮤니티, 여가 프로그램 등 노인 '참여형 서비스' 급성장

 

♦ 한국 기업, '경험·참여·서비스 융합형' 접근으로 일본 시장 진출

  • 제품 판매를 넘어 프리미엄 맞춤형 케어 서비스 제공

  • 여행·문화 콘텐츠 결합형 체험 서비스에 주목

  • 디지털 플랫폼 등을 통한 고객 관리

 

기사 바로가기

2025년 10월 31일
본질·효율·신뢰...2026 외식 트렌드 '정중동(靜中動)'
Today

고물가와 인건비 상승으로 내년 외식시장 경영 여건이 한 층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에 외식업계는 시장의 급격한 변화보다는 형성된 소비 패턴 안에서의 효율화와 체질 개선이 본격화 될 것으로 분석하며, 2026 외식업계 트렌드로 '정중동(靜中動)'을 제시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내년에도 외식 경영 쉽지 않을 전망

  • 원부자재비·인건비 상승, 고물가로 인한 경영 부담 증가

  • 성장보다는 유지, 확장보다는 버티기 전략에 들어간 외식업계

 

♦ 2026 소비자의 외식 트렌드는?

  • 저렴한 음식보다는 가격과 만족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 소비' 부상

  • 음식의 본질·신뢰에 대한 평가 강화, '믿을 수 있는 한끼' 중시

  • 건강형 소비 전 세대로 확산 → 건강식 트렌드 강화

 

♦ 2026 외식업계 키워드는 '정중동(靜中動)'

  • 화려한 유행보다 본질·효율·신뢰가 주요 경쟁력으로 부상

  • 안정적인 운영 중심으로 시장 재편화, 효율화 경쟁 강화

 

기사 바로가기

Z세대의 '자이낸스(Zinance)' 열풍
Today

고물가에 경기 침체로 저축만으로는 자산을 불리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Z세대를 중심으로 '자이낸스(Zinance)'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디지털 세대인 Z세대와 금융(Finance)의 합성어로, 앱테크·크라우드펀딩 등 모바일 기반의 새로운 재테크를 모색하는 행태를 의미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월급만으로는 불안해"...제 2의 수익원 찾는 Z세대

  • 고물가에 경기 침체 겹치며 체감 소득 감소

  • 투자·부업 등 제 2의 수익원을 찾는 움직임 뚜렷

 

♦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재테크 모색하는 '자이낸스' 세대

  • 온라인 투자 강의를 통해 재테크에 입문하는 Z세대

  • 금융권, 소액 투자 서비스 출시하며 청년들의 투자 접근성 제고

  • 금융지식 부족한 젊은층 위해 AI 기반 자산관리 서비스도 등장

 

♦ 금융 생태계 혁신 촉진하는 '자이낸스' 열풍

  • 청년들의 라이프스타일·금융 인식 반영한 New 재테크 수단 부상

  • Z세대 금융시장 참여가 자본시장 저변 확대 및 생태계 혁신 촉진할 것

 

기사 바로가기

中 MZ세대의 패션 소비 트렌드, '백참(bag charm)'
Today

중국의 젊은층 사이에서 가방을 액세서리로 장식하는 '백참(bag charm)'이 새로운 패션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취향과 감정을 드러내고,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표현하는 젊은 세대만의 수단으로 '백참'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중국 내 가방 액세서리 매출 증가

  • 미니소, 올해 1200만 개 이상의 백참 아이템 판매

  • 더우 앱, 올해 9월 걸이형 장신구 관련 검색량 전년 대비 140% 급증

 

♦ 중국 MZ세대가 '백참'에 빠진 이유는?

  • 젊은 세대의 40.1%, "구매 결정 시 감정·흥미를 우선시"

  • 백참, 젊은 세대의 감정표현·소속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매개체

  • 작은 액세서리로 시각적 만족감, 촉각적 위안으로 심리적 안정 충족

 

기사 바로가기

2025년 10월 30일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K-소스'
Today

김치, 라면 등 완제품 중심이었던 K-푸드의 인기가 이제는 '소스 한 숟갈' 영역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과거 '한국 음식=맵다'는 이미지가 강했다면, 최근에는 K소스가 현지에서 인기를 끌며 한식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면서 '취향 맞춤형 한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K소스 인기의 첫 걸음, '불닭 소스 챌린지'

  • 해외서 불닭 소스를 활용한 요리 도전 영상 SNS서 화제

  • SNS와 축제에서 존재감 드러내며 Z세대 인기템이 된 불닭 소스

 

♦ 건강 위해 '한식 양념' 찾는 글로벌 MZ세대

  • 건강과 웰빙에 관심이 많은 젊은 세대

   → 저당·저칼로리 콘셉 내세운 한식 소스 인기

  • 기름기 많은 서양식 소스의 새로운 대체재로 부상

 

기사 바로가기

"이젠 카드도 필요없어"...'카드리스' 세대가 온다
Today

간편결제나 코인 등 새로운 결제 수단이 빠르게 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카드업계는 실물 카드 없이 결제하는 '카드리스' 세대의 확산으로 젊은층 고객의 이탈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20대를 중심으로 카드 결제 규모 감소

  • 올해 상반기 만 29세 이하 카드 결제액, 전년 규모의 47.7% 수준

  • 20대 카드 결제액 2023년부터 감소 추세

 

♦ 반면 간편결제·코인으로 결제하는 2030 증가

  • 토스의 페이스페이, 2030세대를 중심으로 가입자 증가

  • 비트코인·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하려는 젊은층 증가

  • '편리성'을 우선시하는 20대 → '모바일 카드'에 대한 선호 높아

 

기사 바로가기

"차(茶) 처럼 마셔요"...편의성 내세우며 진화하는 숙취해소제
Today

젊은 세대 사이에서 건강 관리가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으면서 '숙취해소제'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습니다. 이에 숙취해소제 시장은 스틱, 필름과 같은 이중제형부터 일상음료처럼 소비할 수 있는 차(茶) 형태까지 '편의성'을 내세운 제형을 다양화하며 젊은층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건강 관리' 트렌드 부상하며  숙취해소제 시장 성장

  • 국내 시장 규모 2천억 원(2021) → 3500억 원(2024)까지 성장

  • 올해는 3700억 원까지 성장할 전망

 

♦ 젊은 세대 공략 위해 제형 다양화·제로 숙취해소제 등장

  • 환·스틱·필름과 같은 이중제형부터 차(茶) 형태 숙취해소제 등장

   →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편의성 높이며 젊은층 공략

  • 최근 복용 트렌드 반영해 제로 칼로리·무설탕 제품도 나오는 추세

 

기사 바로가기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마지막 

트렌드모니터만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