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링’ 액세서리 관련 U&A 조사
“나야, 키링” 가방 속 ‘취향 전시회’
2025.11.04
건기식 및 저가·소용량 제품 관련 U&A 조사
‘5천 원’으로 시작하는 건강관리, 다이소가 불 붙인 ‘건기식 전쟁’
2025.10.28
‘제철코어’ 소비 트렌드 관련 U&A 조사
“지금 아니면 못해요” 계절감 자극하는 ‘제철코어’ 열풍
2025.10.23
2025 영화관람 및 영화관 콘텐츠 관련 U&A 조사
‘영화관의 역습’ OTT 시대를 버티는 새로운 전략
2025.10.21
2025 인간관계 및 연애관 관련 인식 조사
'관계 시성비' 시대, 친구도 연애도 효율부터
2025.10.14
2025 ‘능력주의’ 관련 인식 조사
‘누구의 능력인가’...재생산되는 ‘한국형 능력주의’
2025.09.30
2025 現 직장생활 및 이직 의향 관련 조사
이제는 ‘퇴사’보다 ‘버티기’? 불만 있어도 더 열심히 일하는 시대가 왔다
2025.09.23
SNS 알고리즘 콘텐츠 소비 관련 인식 조사
알고리즘이 만든 ‘거기서 거기’ 이제는 ‘예측 불가능함’에 끌린다!
2025.09.16
최근 각종 플랫폼들이 리빙 카테고리에 잇따라 진출하자, '리빙'을 강점으로 내세운 플랫폼들이 '집 꾸미기'에서 '집 짓기'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중개를 넘어 직접 시공을 하거나 브랜드 협업을 통해 '리빙'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오늘의집,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 도입
• 단순 중개를 멋어나 직접 시공 영역까지 사업 확장
• 직영 매장 판매 방식 → 저렴한 시공 가격이 장점
• 부엌 시공 브랜드 '오늘의집 키친' 매장 '숍인숍' 형태로 오픈
♦ 29CM, 건설사와 협업해 홈·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 확장
• 힐스테이트와 MOU 체결 → 입주 고객 대상 홈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 DDP 디자인페어에서 힐스테이트와 협업해 브랜드관 연출
♦ '집 꾸미기'에서 '집 짓기'로 사업 확대하는 리빙 플랫폼들
• W컨셉·에이블리 등 각종 플랫폼들 '리빙' 카테고리에 주력
•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됨
국내 주류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기에 빠진 가운데, 일본 주류만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 소비자의 일본 주류 수요 확대 배경에는'일본 여행 경험의 내수화'와 가성비부터 프리미엄을 아우르는 일본 주류업계의 '방대한 포트폴리오'가 꼽힙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주류 시장 침체기 속 일본술만 성장 독주
• 日주류 수입, 23년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해 1억달러 선 회복
• 日맥주 올해 수입액 6020만 달러, 전년 대비 20.4% 성장
• 맥주 외에도 사케, 위스키도 성장세 보여
♦ 일본주 성장 배경 1. 여행 경험의 내수화
• 일본 여행 수요 증가 → 한국 소비자, 일본주 경험 확대
• 일본에서 맛봤던 술을 국내에서도 소비하려는 경향 강화
♦ 일본주 성장 배경 2. 다양한 포트폴리오
• 저도수·하이볼·사와 등 이색적인 가성비 주류 → 젊은층 수요
• 사와, 위스키는 프리미엄 시장 저격
홈쇼핑업계가 1세대 스타 쇼호스트를 영입하거나 프리미엄 전략을 강화하는 등 '액티브 영올드' 공략에 나섰습니다. TV홈쇼핑의 주 고객층이 50대 이상 중장년층인 만큼, 액티브 영올드를 위한 맞춤형 전략을 강화해 매출 증대를 노리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50대 이상 중장년층, TV홈쇼핑 주요 고객으로 부상
• TV홈쇼핑 이용자 중 68%가 '50대 이상 중장년층'
•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자기 투자에 관심 보이는 '액티브 영올드' 공략
♦ KT알파, 액티브 영올드 맞춤 전략 강화
• 1세대 스타 쇼호스트 영입 → 노년층 팬심 공략하며 고객 확보
• 영올드의 주 관심사인 건강·외모관리 관련 상품군 강화
• 모바일 내 '슬로에이징' 관련 특화관 신설 → 고객 접점 확대
♦ GS샵, '프리미엄 패션'으로 중장년층 공략
• 캐시미어, 라쿤 등 프리미엄 소재 내세운 스타일 적극 도입
• 명품 수준의 품질·디자인 카테고리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