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잠시, 꺼두셔도 좋습니다” 디지털 디톡스, 나도 할 수 있을까?

[TK_202404_TRY9691] 2024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관련 인식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디지털 기기 의존도 수준 관련 평가

1. 주 활동(선호) SNS 유형

2. 평소 여가 시간에 하는 활동

3. 디지털 기기 주 사용 목적

4. 상황별 디지털 기기 사용 빈도

5. ‘디지털 시대’ 관련 전반적인 인식 평가

6. 디지털 기기 사용 경험 및 패턴 평가

7. 디지털 기기 의존도 자가 평가

8. 디지털 기기 의존도 증가에 따른 우려 요인

9.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 심각성 체감도

 

PART B.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관련 인식 평가

1. ‘디지털 치매’ 증상 경험 유무

2. 사회 전반적인 ‘디지털 치매’ 문제 심각 수준

3.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필요성 체감도

4. 실천 경험이 있는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방식

5. 향후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실천 의향

6. 정부 주도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캠페인 필요성

7.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관련 전반적인 인식 평가

1) 전체

2) 연령별

3) 디지털 치매 증상 경험 유무별

- 전체 10명 중 8명, “디지털 기기 없다면 매우 불편할 것”
- 저연령층, 습관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하는 경우 많아
- 스스로의 ‘디지털 기기 의존도’ 높게 평가하는 편
- 특히, “어린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 심각해지고 있어”
- 79.5%, “향후 디지털 디톡스 실천할 의향 있어”
- 76.5%, “디지털 디톡스 필요하지만, 실천하기는 어려운 일”

 

 

- 전체 10명 중 8명, “디지털 기기 없다면 매우 불편할 것”
- 저연령층, 습관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하는 경우 많아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의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2024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디지털 치매’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의도적으로 전자기기, SNS 등의 사용을 줄이는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디지털 시대는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다(64.8%, 동의율)는 인식이 뚜렷한 가운데, 디지털 기기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평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남들이 아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기 이용이 필수다 – 84.8%(동의율)). 디지털 기기가 없어진다면 매우 불편할 것 같고(85.3%, 동의율), 이를 멀리하면 세상의 변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84.4%)는 인식도 높은 수준으로, 많은 양의 정보가 빠르게 오가는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기가 정보 습득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여겨지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한편, 디지털 기기는 주로 누군가를 기다릴 때나(93.6%) 누워서 잠들기 전까지(90.2%) 킬링타임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업무 도중, 밥 먹을 때, 걸어갈 때 등 다른 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점이 특징적이었다(하단 그래프 참조). 또한 이들 세대는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데에 뚜렷한 목적이 있기 보다는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본다(10대 40.5%, 20대 44.5%, 30대 39.5%, 40대 32.0%, 50대 28.0%, 60대 17.0%)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된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디지털 기기가 일상생활에서 익숙하고 필수적인 도구로 여겨지고 있는 만큼 디지털 기기 중독에 좀 더 쉽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되는 부분이었다.

 


- 스스로의 ‘디지털 기기 의존도’ 높게 평가하는 편
- 특히, “어린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 심각해지고 있어”

 → 전반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디지털 기기 의존’에 대한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평소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60.9%, 동의율), 가끔 디지털 기기에 중독된 것 같은 느낌이 든다(59.8%)고 평가할 정도로 스스로를 디지털 기기에 중독된 상태로 인식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대 응답자의 경우 스스로의 디지털 기기 의존도를 심각하게 평가하면서도(10대 60.5%, 20대 68.5%, 30대 72.0%, 40대 57.5%, 50대 57.0%, 60대 50.0%) 동시에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10대 48.5%, 20대 41.0%, 30대 36.0%, 40대 26.5%, 50대 15.5%, 60대 15.0%)는 응답이 두드러지는 등 디지털 기기 사용을 스스로 제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보였다. 이 때문인지 최근 디지털 기기를 멀리 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10대 64.5%, 20대 58.5%, 30대 59.5%, 40대 53.5%, 50대 51.5%, 60대 40.0%)는 응답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나아가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9.1%)은 최근 어린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데에 높은 공감을 내비쳤으며, 스마트폰 이용이 많아지면서 다른 사람들과 대화 하거나 관계를 맺는 시간이 줄어든 것 같다(64.1%)는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았다. 갈수록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는 심각해질 것 같다(86.8%, 동의율)는 전망이 지배적인 만큼, 의도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 79.5%, “향후 디지털 디톡스 실천할 의향 있어”
- 76.5%, “디지털 디톡스 필요하지만, 실천하기는 어려운 일”

 → 일상 생활에서 디지털 기기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디지털 치매’를 겪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실제로 디지털 치매 증상 경험했던 것으로(종종 경험하는 편 14.4%, 이따금씩 겪는 편 36.4%), 주로 연락처가 기억나지 않거나(22.4%, 중복응답), 전반적인 기억력이 저하(22.2%)된다는 점을 치매 증상으로 꼽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디지털 치매 이슈가 심각한 수준인 것 같다(68.5%, 동의율)는 우려를 내비쳤으며, 특히 디지털 치매 문제가 가장 염려되는 연령대로 초등학생, 중학생을 우선적으로 언급한 점이 눈에 띄는 결과였다(초등학생 52.3%, 중학생 50.5%). 이처럼 디지털 의존 문제가 심각하게 여겨지고 있는 만큼,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었다(디지털 디톡스 필요성 느끼는 편 – 80.2%). 향후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 실천 의향을 밝힌 응답자도 79.5%로,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거나(41.3%, 중복응답), 사용 시간을 줄이고 운동하기(36.8%), 종이책 읽기(31.9%) 등 아날로그 방식으로 디톡스를 실천하려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것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도움이 되고(76.5%, 동의율), 자신에게 더 집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73.5%)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수준임을 엿볼 수 있었다. 단,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로 디지털 기기 의존도를 낮출 수는 있지만 완전히 줄이기는 어렵고(83.8%, 동의율), 필요성은 체감하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는 어려운 일(76.5%)이라는 인식이 높게 평가되고 있어, 현실적으로 디지털 기기의 익숙함을 포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였다. 이 때문인지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상담, 치료 사업을 적극적을 실시해야 하고(60.4%, 동의율) 디지털 디톡스 활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60.2%)는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사회/문화-사회이슈
  • 조사기간 2024-04-25~2024-05-29
  • 샘플수 1200
  • 보고서 페이지수 35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