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쇼핑

‘생존의 기로’에 놓인 재래시장, 전체 81.3% “지역상권의 활성화 위해서는 재래시장 꼭 필요”

[TK_201508_TRY2919] 2015 재래시장 관련 인식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개요
   2. 응답자 특성
 

 

II.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1. 장보기 패턴 평가
         1) 장보는 빈도
         2) 동행인 수
         3) 주요 고려 요인
         4) 주이용 교통 수단
         5) 유통채널별 긍정 이미지 평가
         6) 주방문 유통 채널
    2. 재래시장 이용/비이용 평가
         1) 방문 이유
         2) 비방문 이유
    3.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재래시장만의 요소
    4. 재래시장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5. [온누리 상품권] 이용 정책 평가
         1) 이용 및 인지 경로
         2) 이용 의향
    6. [시장 전용 엽전] 이용 정책 평가
         1) 이용 및 인지 경로
         2) 이용 의향
    7. 재래시장 활성화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생존의 기로’에 놓인 재래시장
전체 81.3% “지역상권의 활성화 위해서는 재래시장 꼭 필요”
그러나 소비자 평가는 ‘대형할인마트’와 ‘백화점’에 비해 낮은 수준
‘주차의 불편함’과 ‘편의시설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아

 

 

 

- 전체 81.3%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래시장이 꼭 필요하다”

→ 시장조사전문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의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재래시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1.3%가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래시장이 꼭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래시장의 필요성에 대다수가 공감하는 것으로, 특히 고연령층(20대 72.8%, 30대 82%, 40대 84%, 50대 이상 86.4%)의 이런 인식이 보다 강한 편이었다. 또한 재래시장이 문화관광산업의 일환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데도 10명 중 8명(80%)이 동의하였다. 재래시장을 문화관광산업의 하나로 보는 태도는 모든 연령대(20대 80.4%, 30대 79.6%, 40대 80%, 50대 이상 80%)에서 비슷하였다.

 

 

- 65.6% “내 지역에 있는 시장에 가면 지역주민이라는 유대감을 느낄 수 있다”

→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재래시장은 물건을 사고파는 쇼핑장소인 동시에 다양한 재미요소를 갖춘 ‘문화공간’이었다. 재래시장은 구경하는 재미가 있고(83.1%), 재래시장에 가면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73.7%),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다(78.4%)는 의견들에 대부분이 공감한 것이다. 이와 함께 다른 사람들과의 정과 유대감을 느끼는 공간으로도 인식되고 있었다. 전체 81%가 재래시장에서는 한 움큼 더 얹어주는 덤 같은 것을 기대하게 된다고 말하였으며, 내 지역에 있는 시장에 가면 지역주민이라는 유대감을 느낄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소비자가 65.6%에 이르렀다. 특히 50대 이상(74%)이 재래시장 방문을 통해 지역 유대감을 더 많이 느끼는 특징을 보였다. 이렇게 다른 쇼핑채널과 차별화된 재래시장만의 요소들 때문인지 앞으로도 재래시장은 존재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시장이 앞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란 예상은 틀린 말이라는데 동의하는 의견(47.8%)이 비동의 의견(27.1%)보다 앞선 것이다. 20대(40.4%) 젊은 층보다는 50대 이상(54.8%) 중?장년층이 재래시장의 미래를 좀 더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보다 뚜렷했다.

 

 

- 그러나 대형할인마트와 백화점에 비해 재래시장의 경쟁력 낮은 것으로 평가, 제품가격에서만 우위

→ 그러나 재래시장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는 달리 유통채널로써의 경쟁력은 다른 유통채널에 비해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표적인 오프라인 유통채널인 대형할인마트와 백화점과의 비교평가 결과, 재래시장은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먼저 제품의 신뢰(백화점 3.68점, 대형할인마트 3.64점, 재래시장 3.16점, 5점 만점 기준)와 제품의 다양성(대형할인마트 4.08점, 백화점 3.69점, 재래시장 3.30점) 등 제품 측면에 대한 평가에서 재래시장이 백화점과 대형할인마트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친절한 응대(백화점 4.03점, 대형할인마트 3.77점, 재래시장 2.98점)와 다양한 결제수단(대형할인마트 4.31점, 백화점 4.3점, 재래시장 2.43점) 등 서비스 측면과 휴식공간(백화점 3.94점, 대형할인마트 3.37점, 재래시장 2.12점)과 상품체험(대형할인마트 3.67점, 백화점 3.46점, 재래시장 2.91점) 등 체험 측면에 대한 평가도 모두 가장 낮았다. 교통편(대형할인마트 4.16점, 백화점 4점, 재래시장 2.47점)과 가격비교(대형할인마트 3.69점, 백화점 2.92점, 재래시장 2.76점) 항목에서도 재래시장은 대형할인마트와 백화점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제품가격(재래시장 3.63점, 대형할인마트 3.48점, 백화점 2.2점)에서는 다른 유통채널보다 비교우위에 있다는 인식이 강했다. 또한 소비자가 느끼는 친숙함(대형할인마트 4.12점, 재래시장 3.87점, 백화점 3.45점)도 다른 항목 대비 높은 수준이었다.

 

 

- ‘주차의 불편함’과 ‘편의시설 부족’이 재래시장을 잘 찾지 않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혀

→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을 방문하는 이유는 역시 장을 보기 위한(75.7%, 중복응답) 목적이 가장 컸다. 지나가는 길에 구경을 하거나(47.6%), 반찬을 사기 위해(43.1%) 시장을 찾는 사람들도 많았으며, 옛 추억을 떠올려보기 위해(42%) 재래시장에 들리는 경우도 상당한 편으로 나타났다. 젊은 층은 구경을 위해(20대 50%, 30대 50.8%, 40대 46%, 50대 이상 43.6%), 중?장년층은 추억을 떠올리기 위해(20대 35.6%, 30대 37.6%, 40대 48%, 50대 이상 46.8%) 재래시장을 찾는 비중이 높은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그밖에 나들이(23.9%)와 식사(13.8%), 데이트(13.1%) 목적으로 재래시장을 방문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반면 소비자들로 하여금 재래시장을 잘 찾지 않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은 주차의 불편함(66.8%, 중복응답)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편의시설의 부족(51.5%)과 교통의 불편함(49.6%), 시장 내 이동의 불편함(48%)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물론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는 다른 유통채널들이 많다(47.7%)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었다. 그밖에 청결하지 못한 편의시설(43.2%), 날씨 상황에 따른 활동 제약(37.7%), 적립 및 혜택 제도 미비(37.4%)도 재래시장 방문을 꺼리게 하는 요인으로 꼽혔으며, 재래시장이라고 해도 딱히 저렴한 것 같지 않다(34%)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을 끊임없이 찾고, 머무를 수 있도록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과 다양한 서비스들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10명 중 9명 “재래시장이 젊은이들도 잘 찾아가는 공간이 되어야 활성화 될 수 있다”

→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소비자들은 무엇보다도 젊은 층이 많이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대부분의 응답자(92.1%)가 재래시장이 젊은이들도 잘 찾아가는 공간이 되어야 활성화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이다. 성별(남성 92%, 여성 92.2%)과 연령(20대 91.2%, 30대 93.2%, 40대 94%, 50대 이상 90%)에 관계 없이 젊은 세대를 재래시장으로 유인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보는 시각은 동일하였다. 또한 전체 79.4%는 저렴한 비용의 창업공간으로 재래시장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재래시장에서도 문화공연 등의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되었으면 좋겠다고 10명 중 7명 이상(71.1%)이 동의하였다. 재래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오래된 시설을 최신식으로 바꿔야 한다(57.8%)는 의견도 상당한 수준이었다.

 

 

- 63.4% “온누리상품권은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좋은 아이디어”, 그러나 실제 이용경험(33.7%)은 아직 적어

→ 재래시장 활성화 전략의 하나로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좋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누리상품권의 도입이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고(63.4%), 상인들이 장사하는데 도움이 될 것(61.6%)이라는 의견이 10명 중 6명 이상이었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온누리상품권이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좋은 아이디어이며(20대 52.4%, 30대 60.4%, 40대 68%, 50대 이상 72.8%), 상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20대 45.2%, 30대 62.8%, 40대 65.2%, 50대 이상 73.2%)이라는 의견을 많이 보였다. 다만 아직까지는 정착이 잘 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소비자 대부분(91.5%)이 온누리상품권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실제 이용경험(33.7%)은 적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의 온누리상품권 이용경험(20대 22.4%, 30대 32%, 40대 38.4%, 50대 이상 42%)이 많은 편이었다. 하지만 향후 온누리상품권의 이용의향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전체 63.4%가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해볼 의향이 있다는 뜻을 밝혔으며, 역시 고연령층의 상품권 이용의향(20대 60.4%, 30대 60.8%, 40대 64.8%, 50대 이상 67.6%)이 좀 더 많았다.

 

 

- ‘시장 전용 엽전’의 도입이 재래시장 활성화에 좋은 아이디어라는 평가(43.2%)는 낮은 수준

→ 그에 비해 현재 일부 재래시장이 마케팅 차원에서 활용하고 있는 시장 전용 ‘엽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편이었다. 시장 전용 엽전 도입이 재래시장 활성화 전략으로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다는 의견은 43.2%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상인들이 장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37.9%)은 더 낮은 수준이었다. 실제 시장 전용 엽전의 이용경험(3.4%)은 소수의 소비자들에게 국한되었으며, 아예 인지하지 못하는 소비자(61.9%)가 다수였다. 다만 현재 인지 수준(38.1%)에 비해 향후 이용의향(42.4%)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재래시장만의 요소로는 ‘가격흥정 및 덤 서비스’와 ‘주전부리’ 꼽아

→ 한편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재래시장만의 요소로는 가격흥정 및 덤 서비스(69.4%, 중복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즉석에서 먹을 수 있는 주전부리(64.3%)도 재래시장의 추억을 되살리는 주요한 아이템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곳곳에 설치된 노점상과 포장마차(47.6%), 다듬어지지 않은 신선한 야채와 채소(43.7%), 손 맛이 느껴지는 반찬(41.2%), 할머니, 할아버지 상점 주인(29.9%)이 옛날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 소비자들 보통 일주일에 1번 이상 장을 보고 있어, 대부분 주 1~2회(45.8%) 또는 3~4회(21%)

→ 소비자들은 보통 일주일에 1번 이상 장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 1~2회(45.8%) 내지 3~4회(21%) 정도 장을 보는 가운데, 하루 1회 이상(9.4%) 장을 보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았다. 가장 많이 방문하는 유통채널은 대형마트(86.6%, 중복응답), 대형슈퍼(51.9%), 동네슈퍼(43.9%), 재래시장(42.1%) 순이었으며, 재래시장은 아무래도 연령이 높을수록(20대 28.8%, 30대 37.2%, 40대 50%, 50대 이상 52.4%) 방문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장을 보러 갈 때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주로 자가용(58%, 중복응답)이었으며, 버스(33.4%)와 도보(30.6%)의 이용이 비슷한 수준으로 뒤를 따랐다.

 

 

- 장을 볼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조건은 역시 “가격이 저렴한가?”, 젊은 층이 보다 가격에 민감

→ 장을 볼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조건은 역시 가격(62.6%, 중복응답)이었다. 가격에 대한 고려도는 젊은 층(20대 70%, 30대 64.8%, 40대 58.9%, 50대 이상 56.4%)에서 보다 높았으며, 남성(65.3%)이 여성(59.2%)에 비해 가격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또한 제품의 종류가 다양한지(44.3%), 제품이 믿을만한지(43.9%), 가까운 곳인지(42.3%), 교통편 및 주차환경이 좋은지(37.3%)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제품의 신뢰성은 연령이 높을수록(20대 40%, 30대 40.1%, 40대 46.2%, 50대 이상 49.4%) 많이 고려하였으며, 20대는 다른 연령에 비해 가까운 곳인지 여부(20대 55%, 30대 42.6%, 40대 34.2%, 50대 이상 37.2%)를 보다 중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마크로밀엠브레인의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의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설문지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유통/쇼핑-유통/쇼핑
  • 조사기간 2015-08-24~2015-08-27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38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설문지
  • 통계테이블
  • 보고서